1. ETC, DRY원칙 => easy to change, don't repeat yourself
가. ETC -> 단일책임,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변수명을 잘 지어라.
- 변수명 tip
1) 명사를 사용하며 동사는 사용하지 않는다.
2) 단수, 복수 구분에 유의한다.
3) 전치사 사용을 지양한다.
4) 간결하고 읽기 편해야한다.
5) 언리얼, 마소의 오픈소스 코드 등을 읽으며 공부해라
참고: https://youtu.be/ZtkIwGZZAq8
나. DRY -> 같은것을 주석과 같이 두 군데 이상 표현하지 마라, 지식의 중복과 의도의 중복을 지양하라
Q1. 실무에서는 함수마다 주석달고있지 않은가?
Q2. 변수명을 잘 짖기 위해 어떤 고민을 하고있는가?
Q3. 스타트업에서, 제한된 자원으로 위의 원칙을 지키는것이 힘들 수 있다. 개인의 사례 또는 기준
2. 직교성 (직교한다) => 두개의 코드는 독립적이어야 한다.
즉, 하나를 바꿔도 나머지에는 어떤 영향도 주지 않아야 한다. 이는 생산성의 향상, 재사용의 촉진을 가져옴.
3. 가역성 => 유연하고 변화에 적응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만들라
4. 예광탄과 프로토타입의 차이 :
- 실제 사용할 코드베이스 상에서 비즈니스 로직이 엉성하게나마 돌아가는 코드를 작성
=> 주간회의때 95% 완성에서 진척 없는 코드 덩어리 대신, 소수의 핵심 기능이 작동하는 예광탄 코드를 보여줄 수 있다
- 프로토타입은 최종 시스템의 어떤 특정 측면을 탐사해 보는 것
⇒ 테스용으로 쓰고 버리는 느낌, 제한된 몇가지 질문에 대해서 답하는 용도로 작성하는 코드
5. 추정 => due를 측정할때 유용한 팁
- 어느정도의 정확성을 요하는지 먼저 확인해라 (130일 vs 4달, 4달이라고 하면 3~5개월과 같이 추산 범위가 넓어짐 )
- 프로젝트 일정 추정할때 불확실성을 줄이는 법
1) 미사일에 페인트칠 : 여러가지 케이스가 있는 경우마다 일정이 달라진다. (낙관적 추정, 비관적 추정, 가장 가능성 높은 추정)
2) 코끼리 먹기(점증적 개발) : 기능을 조금씩 만들며 일정을 역산
Q4. 현업에서 프로젝트 일정을 추정할때 어떤 방식으로 하나? 잘 지켜지는가? 지켜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대처하는가?
- 핵심 : 누군가 추정치를 묻거든 "나중에 회신드릴께요"라고 말하라.
'항해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 세미나,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1) | 2022.04.18 |
---|---|
참고할 블로그, 유튜브 등 (0) | 2022.03.03 |
면접 정리 (0) | 2022.03.02 |
운영체제 2차시 (0) | 2022.02.24 |
실행컨텍스트 (2)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