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Amazon Web Services)를 운영하다 보면 CloudWatch와 CloudTrail이라는 두 가지 모니터링 서비스에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름이 비슷하고 모두 '모니터링'이라는 큰 범주에 속하지만, 이 두 서비스는 목적과 역할이 완전히 다릅니다. 이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시스템의 성능 저하 원인을 파악하거나 보안 사고의 원인을 추적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CloudWatch가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는 대시보드'라면, CloudTrail은 '모든 활동을 기록하는 블랙박스'와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서비스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고, 각각의 주요 기능과 활용 방안을 상세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1. AWS CloudWatch: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는 대시보드 📈
CloudWatch는 AWS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얼마나 잘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주요 목적: 운영 상태 모니터링, 성능 지표 수집 및 분석
- 비유: 자동차 운전석의 대시보드와 같습니다. 주행 속도, 연료량, 엔진 온도 등 차량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여주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핵심 기능:
- 메트릭(Metrics): EC2 인스턴스의 CPU 사용률, 네트워크 트래픽, RDS 데이터베이스의 연결 수 등 AWS 리소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성능 지표를 자동으로 수집합니다. 사용자 지정 메트릭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내부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습니다.
- 로그(Logs): 다양한 AWS 서비스(Lambda, EC2, ECS 등)와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로그를 중앙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합니다. 로그 필터링 및 검색 기능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알람(Alarms): 특정 메트릭이 설정한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면, SNS(Simple Notification Service)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냅니다. 이를 통해 장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 대시보드(Dashboards): 수집된 메트릭과 로그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생성합니다.
CloudWatch는 "지금 내 EC2 인스턴스의 CPU 사용률이 몇 %인가?"와 같은 질문에 답하는 서비스입니다.
2. AWS CloudTrail: 모든 활동을 기록하는 블랙박스 📝
CloudTrail은 AWS 계정에서 발생한 모든 API 호출 및 활동을 기록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감사(Auditing) 기록을 남기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주요 목적: 보안 감사, 거버넌스, 규정 준수
- 비유: 자동차의 블랙박스나 은행의 거래 기록부와 같습니다. 운행 중 발생한 모든 상황을 기록하거나, 모든 입출금 기록을 남겨 나중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 핵심 기능:
- 이벤트 로그(Event Logs): AWS Management Console, AWS SDK, CLI(Command Line Interface)를 통해 발생하는 모든 API 호출을 이벤트로 기록합니다. 이 로그에는 API 호출자(사용자), 호출 시간, 호출된 API, 리소스 정보 등이 상세히 포함됩니다.
- 보안 및 규정 준수: CloudTrail은 보안 사고가 발생했을 때 누가 무단으로 리소스에 접근했는지, 어떤 리소스가 변경되었는지 등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증거를 제공합니다. 기업의 보안 규정을 준수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통합성: 계정 내의 모든 리전에 걸쳐 발생하는 활동을 기록할 수 있으며, 이 로그를 S3 버킷에 저장하여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습니다.
CloudTrail은 "어제 누가 EC2 인스턴스를 삭제했는가?"와 같은 질문에 답하는 서비스입니다.
3. CloudWatch vs. CloudTrail: 한눈에 비교하기
구분 | AWS CloudWatch | AWS CloudTrail |
주요 목적 | 성능 모니터링, 상태 감시 | 보안 감사, 규정 준수 |
기록 대상 | 메트릭 및 로그 | API 호출 및 사용자 활동 |
답하는 질문 | "내 시스템이 지금 어떤 상태인가?" | "누가, 언제, 무엇을 했는가?" |
데이터 형식 | 시간 순서대로 정렬된 시계열 데이터 | API 호출 정보가 담긴 이벤트 로그(JSON) |
주요 사용자 | 개발자, 시스템 운영자, DevOps 엔지니어 | 보안 담당자, 시스템 관리자, 감사관 |
주요 활용 예시 | - CPU 사용량이 80% 이상일 때 알람 발송<br>- 웹사이트 응답 시간 모니터링 | - 권한 없는 사용자의 리소스 접근 기록 추적<br>- 특정 리소스의 변경 이력 확인 |
4. 두 서비스의 시너지 효과 - 함께 사용할 때의 가치 ✨
CloudWatch와 CloudTrail은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함께 활용하면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예시 1: 장애 원인 분석
- CloudWatch가 EC2 인스턴스의 CPU 사용률이 갑자기 100%가 되었다는 알람을 보냅니다.
- CloudTrail의 로그를 분석하여, 그 시점에 어떤 사용자가 RunInstances API를 호출했거나,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부하를 유발했는지 원인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 예시 2: 보안 위협 탐지
- CloudTrail은 계정에 대한 모든 API 호출을 기록합니다.
- CloudWatch의 로그 그룹으로 CloudTrail 로그를 전송한 뒤, '특정 IP 주소에서 비정상적으로 많은 로그인 시도가 발생했을 때'와 같은 패턴을 감지하는 알람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결론: 필수적인 두 개의 눈, CloudWatch와 CloudTrail 👁️👁️
CloudWatch는 클라우드 시스템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눈이라면, CloudTrail은 시스템에서 일어난 모든 일의 '기록'을 남기는 기억입니다. 시스템의 성능과 가용성을 책임지는 엔지니어에게는 CloudWatch가, 보안과 규정 준수를 담당하는 팀에게는 CloudTrail이 필수적입니다. 이 두 서비스를 적재적소에 활용하고 연동하여 사용하면, AWS 클라우드 환경을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완벽 가이드: SQS, SNS, EventBridge 제대로 파헤치기 (2) | 2025.08.08 |
---|---|
AWS CLI로 클라우드 조작을 빠르고 간편하게 (2) | 2025.08.08 |
AWS 클라우드 관리의 핵심: IAM 역할과 리소스 그룹 완벽 이해하기 🤝 (1) | 2025.08.07 |
서버리스부터 컨테이너까지: AWS 람다, 파게이트, EC2 완벽 비교 가이드 ⚙️ (1) | 2025.08.07 |
AWS 네트워크, 제대로 파헤치기: VPC, 서브넷, 라우팅, NAT, 보안 그룹 완벽 가이드 🌐 (1)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