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24)
REST API에 의거한 서버 만들기 1.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버에 요청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 서버와 고객간의 통신 규약이다. (서로 다른 프로그램간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규약) 2. REST API란(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URI 주소만으로도 무엇에 대한 요청인지 파악 가능하게 하라. 이를 위해 API제작시 아래 6개 원칙을 지켜라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1) Uniform Interface 인터페이스는 일관성이 있어야한다 - 하나의 URL은 하나의 데이터를 가져온다(url 2개로 데이터 1개를 출력하게 하지 말라) - 간결하고 예측가능해야함 - URL 네이밍 컨벤션을 지켜라 2) Client-ser..
DB의 종류 1. 관계형 1) 가로x세로 연번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1 홍찰찰 sabsa@dfefw.fe 010-1234-0000 2 조팔탁 sdfljwi@wgw.wfw 010-0000-1234 2) 3차원 데이터를 다루기 어려움. 연번 이름 이메일 주문내역 1 홍찰찰 sabsa@dfefw.fe [피자, 치킨, 콜라, 사이다] 2 조팔탁 sdfljwi@wgw.wfw [건빵, 과자, 껌] 3) SQL query langauge를 사용 (MySQL, ORACLE ...) 2. NoSQL 1) JSON object 자료형으로 입출력 가능 => 3차원 데이터 용이 (Dynamo, mongoDB ...) 2) 데이터 입출력에만 신경쓰면 ok(sql랭귀지 불필요)
항해99 등록 2주 정도 다니던 국비학원를 취소하고 부트캠프 항해99에 등록했다. 사유는 아래와 같다. 1. 국비학원을 마치고 부트캠프를 다시 들었다는 사례, 국비학원 수료후 다시 부트캠프에 등록하는 사례 등을 미뤄보아 시작부터 부트캠프를 활용하는것이 비용과 시간 모두 절약하는 방법이라 판단했다. 2. 퇴사후 진로를 탐색하는데 시간을 많이 투자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직무전환을 하고 싶었다. 항해99는 다른부트캠프와 다르게 시작과 함께 바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만큼 사전준비가 많이 필요할 것이다. 99일간 몰입을 통해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할 수 있길 희망한다.
개발 공부를 시작했다. 1. 올상반기 부터 생활코딩, 유데미 등을 통해 코딩을 체험했다. 하반기 개발로 진로를 결정하며 국비학원을 등록했다. 개발자가 되려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2019~2021년 까지 대학에서 교양교육팀 직원으로 근무했는데, 매학기마다 1학년 2,000여명의 교과, 비교과 활동 데이터를 취합, 공지해야했다. 2) 전임자는 엑셀 작업을 통해 공지하는 방법을 인수인계 해주었지만 데이터 취합에 일주일 이상이 걸렸고, 수작업인 만큼 오류도 빈번하여 내용 정정 민원이 잦았다 3) 과장님께서 친분이 있는 전산팀 직원을 연결해주셨고 전산실에 올라가 10분만에 데이터를 추출하는것을 옆에서 지켜보았다. 4) 이런 방식이라면 행정업무를 습득한 전산직원 1명이 일반 행정직원 10명 이상의 몫을 할 수 있게될 것이라 느꼈다..

반응형